본문 바로가기
old/IT 이야기

트위터(twitter.com)로 다시 보는 공짜 서비스 모델(Freeminum Model)과 고도화 유료 서비스 모델(Premium Model)

by 열야 2009. 5. 27.
마이크로 블로그로서 SNS 업계에 엄청난 반향을 일으키며 성장하고 있는 트위터...
당신은 사용하고 있습니까?

개인적으로는 마이스페이스(http://www.myspace.com), 페이스북(http://www.facebook.com)과 함께 트위터에도 가입하여 사용해 보았습니다. 사용성으로 보자면, 이중 트위터가 가장 간편하면서 가장 사용하기 편리하다고 생각합니다. 사람들이 서로 follower와 followee를 맺음으로서 대화하듯이 단문 블로깅을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서 커뮤니케이션을 할 수 있다는 점은 정말 놀랍도록 감동적인 부분입니다. 다시말해서, 트위터는 단순히 140글자로 제한된 포스팅을 올리는 마이크로 블로그라고 하기 어렵습니다. 초기 모티브는 마이크로 블로그였으나, 커뮤니케이션 중심의 단문 블로그 서비스 정도가 가장 적당하지 않을까 생각되네요.

1. 트위터의 성공 그러나 불안한 미래
최근 엄청난 성장세는 놀랍다는 말로 밖에 표현이 안됩니다. 지난 2월에서 3월까지 사용자가 131%증가 했으며, 트래픽은 작년 2월 대비 700% 성장하였습니다. 가입자 수로만 본다면 지난해 47만명정도에 불과하던 것이 1년만에 3200만명이라는 엄청난 숫자로 증가하였습니다.(참고로 페이스북은 2억명 돌파했다고 합니다.)

이런 엄청난 증가세에도 불구하고 몇가지 문제점들이 나오고 있는 것이 사실 입니다. 간략하게 정리해보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 사용자들의 서비스 충성도가 비교적 적다.
 - 수익 모델은 현재 전혀 없다.
 - 다른 웹 서비스와는 다른 광고를 올릴 수 없는 구조

낮은 충성도
지난 3월의 닐슨 보고서에 의하면 신규 사용자가 폭발적으로 증가한 것은 사실이지만, 그에 비해서 서비스 사용을 유지하는 사용자는 사용자의 30%미만이라는 점입니다. 이점은 마이스페이스나 페이스북의 70%에 비하면 매우 초라한 숫자입니다.
Twitter, Facebook, myspace 충성도 비교
원인은 당연합니다. 트위터는 태생이 SNS라기 보다는 블로그이기 때문입니다. 즉, 친분을 중시하는 서비스의 경우, 서비스에 대한 충성도가 높을 수 밖에 없습니다. 그러나, 블로그 서비스의 경우 SNS에 비해서 사용자를 묶어 놓을 수 있는 수단이 매우 약합니다.

수익 모델의 부제
현재 수익모델이 없습니다. 유료 서비스가 될 만한 것을 찾아보려고 노력중이지만 쉽지 않은 선택입니다. 엄청난 사용자들의 증가와 우호적인 투자자들 덕분에 그나마 유지되고 있다고 봐도 무방합니다.
그러나, 이미 오랜기간동안 수익모델이 없었으니 이런 상태가 개속된다면 언젠가 바닥이 드러나고 말 것입니다.


광고의 어려움
다른 서비스와는 다르게 트위터의 웹페이지는 매우 간결하고 단순합니다. 이런 웹페이지 때문에 사용자들이 이해하기 편리할 뿐아니라, 자신들이 원하는 서비스를 아무런 어려움없이 볼 수 있습니다. 이런 사이트 구조를 변경한다는 것은 트웨터의 장점을 버릴수도 있는 일입니다. 그러나, 이런 구조에서 섣불리 광고를 넣을 경우 큰 혼란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트위터의 경영진들은 트위터에 사이트 광고를 올리지 않을 것이라고 말한 것 같습니다.



2. Freemium Model의 광고 (공짜 경제 모델)
Freemium Model이란 것을 우리나라 말로 번역하자면 아마 "공짜 경제"가 가장 맞을 것 같습니다. 서비스를 사용자들에게 공짜로 제공함으로써 돈을 버는 서비스를 의미합니다. 수익을 창출하는 방법으로 두가지가 있습니다. 첫번째는 광고를 이용한 것이고 다른 하나는 일부 사용자들에게 유료 서비스(Premium Model)을 제공하는 것입니다. 이 장에서는 광고에 대해서 이야기 하겠습니다.
  광고 모델로 가장 대표적인 예를 찾자면, 네이버나 다음에서 하는 검색서비스입니다. 사용자들은 이 엄청난 서비스를 공짜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네이버의 경우 이 서비스를 유지하기 위해서 2,000명정도의 인력이 수작업으로 검색 쿼리에 대한 내용을 분류하고 있습니다. 다음의 경우도 엄청난 자금을 투자하고 있지요. 하지만 공짜 입니다. 대신, 광고를 이용해서 엄청난 수익을 내고 있습니다. 네이버의 경우 수익의 50%이상이 검색광고에 의한 것이고 다음의 경우 95%이상이 검색광고에 의한 수익입니다.

Freemium Model 즉, 공짜 경제 모델의 핵심은 사용자의 수에 있습니다. 얼마나 많은 이 서비스를 이용하느냐가 결국 수익에 반영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자 그럼 트위터로 다시 돌아가 봅시다. Freeimum Model의 수익 발생처는 결국 스폰서와 광고 입니다. 그러나, 앞에서도 말했지만 트위터는 사이트 내 광고를 포기하였습니다. 아니 포기할 수 밖에 없었습니다. 이는 엄청난 이익을 포기한 것이지요.

그러나, 단순히 배너 광고가 아닌 트위터의 검색에 대한 검색광고에 대해서 일반 검색엔진에서 제공하는 것과 같은 검색광고를 제공한다면 엄청난 수익을 낼 수 있으리라는 관측들이 있습니다. 이부분에 대해서는 전적으로 동의할 수 있는 부분입니다.

3. Freemium Model의 Premium Model(유료화 서비스 모델)
Freemium Model의 Premium Model(유료 서비스 모델)은 사용자 수를 많이 모은 상태에서 일부 서비스 충성도가 높은 사용자를 대상으로 고도화 서비스를 유료로 제공함으로써 수익을 얻는 구조입니다.

대표적인 예가 야후(http://www.yahoo.com)에서 운영하는 플리커(http://www.flicker.com)이 있습니다. 플리커는 세계 최대의 사진 공유 사이트 입니다. 대부분 공짜 사용자지만 무제한 용량 사진 업로드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년간 $24.95를 지불해야 합니다. 생각보다 많은 사용자가 이 유료 서비스를 이용하여 자신의 모든 사진을 플리커를 통해서 관리 공유하고 있습니다.
트위터의 경우에도 이와 같은 서비스를 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모바일 스마트 폰에서는 유료 어플리케이션을 배포하고 있으며 또한 데스크탑에서 사용할 수 있는 전용 어플리케이션(광고가 없음)을 $19.95에 판매하고 있습니다.
IDC의 분선가 캐롤린 당손은 이러한 유료 서비스 즉 Premium Model을 5~10%의 사용자들만이 사용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만약 10%의 사용자가 $19.95의 데스크탑 유료 애플리케이션을 구입한다면 $67,830,000의 잠재적 수입이 됩니다.
이와 같은 한번사면 끝나는 유료서비스가 아닌 지속적인 서비스를 제공한다면 엄청난 수익성을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 예를 들면 follower가 쓸수도 있는 광고나 스팸 메시지에 대한 고성능 필터 기능이라던지 여러가지 아이디어가 나올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4. 결론
여기서는 트위터를 예로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 생각해 보았습니다. 이와 같은 정책은 돈먹는 하마가 되어가는 유튜브(http://www.youtube.com)에도 적용될 수 있는 방법이 아닐까 생각됩니다. 그래서인지, 유튜브 역시 훌루(http://www.hulu.com)에서 하는 것과 같이 라이센스가 있는 유료 동영상의 도입을 서둘르고 있습니다.
만약 저를 포함한 여러분이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서 수익을 창출하고자 한다면 이 포스팅에서 언급된 것과 같은 Freemium Model과 Premium Model을 생각해 보는 것은 어떨까요?


참고 자료
페이스북,트위터... 다음은 '닝'
http://www.etnews.co.kr/news/detail.html?portal=001_00001&id=200905260100

Free To Use. Pay To Play.
http://www.techcrunch.com/2009/05/23/free-to-use-pay-to-play/

광고 없는 트위터, 사이트 운영은 어떻게?
http://www.idg.co.kr/newscenter/common/newCommonView.do?newsId=56089

사용자 급증하는 트위터, "떠나는 속도도 빨라"
http://www.idg.co.kr/newscenter/common/newCommonView.do?newsId=55600

트위터를 망칠 수 있는 6가지(없는 5가지)
http://www.idg.co.kr/newscenter/common/newCommonView.do?newsId=554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