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leanPotato 이야기50

과연 개발자를 위한 시대가 올까..? 최근에 몇몇 학회나 컨퍼런스에 참가해보면 강사들이 열변을 토하면서 개발자들의 시대가 온다는 말을 듣곤 한다. 즉, 위젯/가젯이나 엡스토어와 같은 생태계가 생겨났으니, 개발자들이 돈을 벌 수 있다는 뜻이다. 하지만 나는 이 말을 절대 틀리다고 생각한다. 1. 경쟁이 치열해 진다. 이제 개나소나 개발하겠다고 나선다. 경쟁은 이미 치열해 졌다. 덕분에 가격은 떨어졌고 심지어 애플의 앱스토어는 99Cent 샵이라는 말까지 나돈다.(애플 애플리케이션 장터 '앱스토어' 99센트의 고민 참고) 하지만 아직은 수요가 많다. 어플의 수가 20,000개가 넘었지만 다운로드 수는 5억번이 넘었으니까... 그러나, 시장은 한정되 있고, 경쟁은 점점 치열해 질 것이다. 2. 개발자 능력의 한계 개발자는 개발을 잘한다. 그러나 .. 2009. 3. 17.
네이버의 실수.. 네이버 뉴스 그냥 화도나고 짜증나고 해서 그냥 글을 써본다. 네이버는 금년 초에 모든 뉴스 기사를 뉴스 사이트에 넘겨버렸다. 기존에는 모든 뉴스기사를 지들이 평가해서 관심도가 높을 내용들을 선별하고 이를 추가하는 등 어느정도 게이트키핑을 스스로 하는 신문사 아닌 신문사 역활(기자 없는 메타 신문사)을 하였다. 그러다, 저작권 문제로 대가리님께서 검찰에 불려가시고, 신문사들은 자기내 기사를 보는 독자들이 자신의 사이트로 오지 않으면 자신들이 왜 기사를 네이놈들에게 공짜로 보여줘야 하는가에 대해서 짜증을 냈다. 그로인해 네이버는 저작권 문제도 피하고 신문사도 아우르면서 돈안되는 트레픽을 다른 곳으로 빼는 결정을 해버린 것이다. 다시 말해서 네이놈 메인화면의 뉴스 링크는 신문사 홈페이지의 기사 페이지로 연결되어 버린것이다.. 2009. 3. 15.
음악 사이트 www.last.fm: 당신은 어떤 음악을 좋아합니까? 사용자 Context를 파악하는 음악 서비스!! www.last.fm(이하, LastFM)은 이미 해외에서 유명한 음악 제공 사이트이다. 앞전에 리뷰한 finetune(음악 사이트 finetune.com: 고객과 판매자가 win-win하는 진정한 서비스!!)와 매우 비슷한 비즈니스 모델을 갖고 있다. Finetune은 비슷한 음악을 좋아하는 사용자들간에 Playlist를 공유하게 하는 서비스를 통해서 사용자가 다양한 음악을 접하도록 독려한다. 이를 통해서, 사용자는 자신이 몰랐던 음악을 듣게 되고, 또한 이를 통해서 음원을 사고자하는 욕구를 갖게 된다. Finetune은 이러한 사용자의 욕구를 통해서 mp3를 판매하는 수익모델을 가지고 있다. 물론, mp3를 사지 않아도 playlist의 음악은 모두 공짜로 들을 수 있다. LastFM은 사용자를 다양.. 2008. 11. 5.
MS윈도우즈 애저(Windows Azure)와 웹 오피스: MS 의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으로의 이행 최근에 가장 이슈가 되는 기사 중에 하나는 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 28일(현지시간)에 열린 PDC(Professional Developer's Conference) 2008에서 발표한 윈도우즈 애저(Windows Azure), 윈도7(Windows 7) , 그리고 웹 오피스에 대한 내용일 것이다. 특히, 눈에 띄는 것은 윈도우즈 애저(Windows Azure)와 웹 오피스가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기반이라는 점이다. 사실 MS는 지금까지 웹 기반 애플리케이션에 대해서 부정적인 입장을 보여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갑자기 입장을 선회한 이유는 무엇일까? 1. 윈도우즈 애저(Windows Azure) 우선, 윈도우즈 애저(Windows Azure)는 개발자용 OS이다. 그러나, 위의 플랫폼.. 2008. 11. 4.